새로운 생명의 시작. 엄마의 몸은 임신을 위해 준비 중
월경을 시작하는 날부터 임신 준비가 시작
임신기는 마지막 월경의 첫째 날(임신 0주 0일)부터 출산 예정일(임신 40주 0일)까지의 280일을 가리킵니다. 아기는 이렇게 긴 시간에 걸쳐 자라납니다. 임신 0~2주의 3주간은 임신을 위해 필요한 준비 기간입니다. 엄마의 몸은 어떻게 준비되고 있을까요?
임신에 필요한 호르몬은?
임신이 성립하려면 배란과 배정(질 내 사정), 수정, 수정란의 분할 및 수송, 그리고 착상의 4가지 요인이 필요합니다. 임신 0~2주의 시기에는 수정란의 분할 및 수송까지 이루어지며, 동시에 자궁내막은 착상을 대비하여 서서히 두꺼워지고 부드럽게 변해갑니다. 이러한 자궁내막의 변화에 배란을 일으키려면 "에스트로겐(난포호르몬)"과 "프로게스테론(황체 호르몬)", 그리고 "황체 형성 호르몬" 등이 필요합니다.
호르몬의 작용에 의한 자궁내막과 난포의 변화
자궁내막은 임신 0~4일쯤에 벗겨져 떨어지며, 임신 4~12일쯤이 되면 에스트로겐의 작용으로 내막이 두꺼워집니다. 그 사이 난포는 호르몬의 자극을 받아 여러 개가 발육되지만, 마지막까지 성숙할 수 있는 난포는 단 하나뿐입니다.
임신 12~16일쯤에는 성숙한 난포에서 난자가 배출되며, 배란 후의 난포는 "황체"로 변화되어 프로게스테론을 분비합니다. 프로게스테론의 분비량이 증가하면 자궁내막은 더 두꺼워지고 한층 부드러워져 수정란이 착상하기 쉬운 상태로 변화됩니다.
배란의 유무나 배란 시기를 확인하려면
일반적으로 배란은 성 주기(Sexual cycle) 중에 한 번만 일어나므로 임신할 기회도 단 한 번 뿐입니다. 또한 월경을 해도 늘 배란되는 것은 아닌데, 스트레스의 영향이나 난소 기능 등에 문제가 있으면 배란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배란의 유무를 확인하려면 기초 체온을 측정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매일 아침 계속해서 측정하면 배란 전후로 체온이 변화하는데, 일반적으로 배란 후에는 체온이 0.3도 이상 높아집니다. 따라서 배란 전은 저온기, 배란 후는 고온기라고 부릅니다. 하지만 월경을 해도 배란되지 않는 "무배란 월경"은 저온기가 계속됩니다.
또한 임신 확률을 높이기 위해 "배란 시기를 예측"하려면 배란일 테스트기가 유용합니다. 배란일 테스트기는 소변 안에 있는 "황체 형성 호르몬(LH)"의 농도를 바탕으로 배란일을 예측하기 위한 검사 시약입니다. LH는 배란 직전에 급상승하는 특징을 지니며, LH가 상승하기 시작하면 약 36시간 안에 배란됩니다.
출처 - 280days app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신 주수별 엄마의 상태 7주차 (0) | 2022.03.21 |
---|---|
임신 주수별 엄마의 상태 6주차 (0) | 2022.03.21 |
임신 주수별 엄마의 상태 5주차 (0) | 2022.03.20 |
임신 주수별 엄마의 상태 4주차 (0) | 2022.03.20 |
임신 주수별 엄마의 상태 3주차 (0) | 2022.03.19 |
댓글